금리인상과 부동산가격은 반비례 관계인 만큼 부동산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하며 또한, 확실한 것은 지금의 침체기는 더 깊어질 것이라는 것이다. 한국은행에서 금융불균형 확대로 금융안정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기준금리(0.25% 인상한 1.75%) 인상을 했다고는 하나 사실 이번 조치는 주도적이기보다 등떠밀린 결정이다.
정치권 안팎에서 서울집값 안정을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압력이 컸고, 미국의 기준금리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한미간 기준금리 차이(0.75%)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올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아직까지는 자본유출을 걱정할 정도는 아니라지만 한미간 기준금리가 1%이상 벌어지게 되면 문제는 커진다. 미국의 점진적인 기준금리 인상으로 달러강세가 지속되면 한국시장에 투자해 높은 수익을 얻어도 원화 가치가 떨어져 돈이 되지 않기에 외국인 투자자들이 자금을 회수하게 된다. 침체가 더 깊어지는 우리나라 경제와 반대로 견실한 성장세를 이어가면서 점진적인 금리인상을 하고 있는 미국의 상황을 감안하면 자칫 이 때를 놓치면 올리기 어렵다는 위기감이 크게 작용한 것이다. 한국은행에서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을 목표에 가까운 수준이라고 하지만 생산, 투자, 고용, 소비, 수출 등 내년 경제상황은 매우 부정적이다. 금리는 부동산, 주식, 채권과 역행하는 경제지표이기 때문이다.
금리를 인상한다는 것은 시중의 유동자금을 회수하면서 경기 과열방지와 물가안정에 도움을 주지만 원화가치 상승, 달러대비 환율하락을 가져올 수 있어 내수경제와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금리를 올린다는 것은 경제가 좋다는 반증이기도 한데 미국이 대표적이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경제지표에 대한 자신감이기 때문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경제만 보면 금리를 올릴 상황이 아님에도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자본유출과 급등한 서울집값과 가계부채 안정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올린 것이다. 추가 금리인상 유무는 내년 경제상황과 미국 기준금리 인상 속도에 달려있다. 계획대로 내년 말 정도 미국의 기준금리가 3~3.5%정도까지 인상되면 우리도 추가 금리인상을 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아무튼 최근 기준금리 0.25% 인상으로 인해 부동산 시장은 더욱 복잡해졌다. 금리인상이 예상되었던 만큼 당장 큰 영향을 주지는 않겠지만 불확실성이 더 증가하여 대출이자부담이 늘어나면서 그래도 버티자는 심리가 있는 서울보다 지방 아파트시장 침체가 심화되고 있다. 아파트보다 대출비중이 더 높은 상가나 빌딩시장은 아파트 거래감소의 반사이익을 얻을 수도 있지만 높아진 대출문턱에 대출이자 부담까지 커지면서 수요감소의 부정적인 영향도 커지고 있다.
아직은 은행금리보다 임대수익률이 높기에 선별적 투자를 통해 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해지고 있다.
'부동산(공인중개사)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차인의 계약위반 (0) | 2023.04.01 |
---|---|
안정적 월세 수익 투자 노하우 (1) | 2023.04.01 |
상가 임대차 보호법상 임차인의 대항력 (0) | 2023.04.01 |
재건축 · 재개발 시공사 선정기준 (0) | 2023.04.01 |
공시가격 인상의 문제점 (0) | 2023.04.01 |
댓글